경기도, 광주 곤지암도자공원 개선사업 마무리 ‘도자공방거리’ 준공
도예 작가 창작기반 마련 및 일자리 창출, 도민 도자문화 향유 기회 제공
김미숙 | 입력 : 2022/01/21 [00:50]
[이트레블뉴스=김미숙 기자] 경기도가 노후화된 광주 곤지암도자공원을 개선하기 위해 3년여 동안 진행한 재정비 사업이 ‘도자공방거리 조성사업’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도는 2001년 세계도자엑스포 행사를 위해 조성된 곤지암도자공원(43만㎡ 규모)의 시설 노후화 등을 해결하기 위해 2019년부터 61억 원의 예산을 들여 ▲웃음소리 모험놀이터(어린이 놀이터) ▲이야기마당(휴식 공간) ▲숲속오솔길(야외 전시관) 등 여러 재정비 사업을 추진했다.
이 중 마지막인 ‘도자공방거리 조성사업’은 총사업비 18억 원을 투입해 도자공원 서편 전통가마 인근에 350㎡ 규모의 ‘공동작업장’과 그 앞에 6동의 공방(각 32㎡)을 타원형으로 배치해 지난 13일 준공됐다.
공방은 작가가 창작하면서 판매도 가능한 열린 공간이다. 각각의 공방 지붕에는 청자색을 입혀 관광지로서 특색과 일체감을 강조하면서 포토존(사진 명소)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동작업장은 개인 도예가가 마련하기 어려운 가마시설, 물레, 공작장비 등을 갖춰 도예가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워크숍 및 일반인 대상 교육·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고, 천장과 벽체가 모두 유리로 만든 이색 유아놀이방을 도입했다. 이는 테마정원 ‘웃음소리 모험놀이터’와 연계, 사계절 언제라도 부모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아기들을 돌볼 수 있도록 설계했다.
도자공방거리는 한국도자재단이 관리·운영하며, 현재 입주 작가 선정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오는 3월 입주 공예인 선정이 완료되면 준비기간을 거쳐 4월부터 정식 운영 예정이다.
최용훈 경기도 관광과장은 도자공방거리 조성사업을 통해 도자공원의 관광자원으로서의 매력을 한 층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도예 작가의 일자리와 창작 기반이 마련되고, 관람객 및 도민이 생활 속 도자기를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곤지암도자공원은 2019년부터 박물관 전면 진입광장 개선사업, 박물관 후면 특화정원 조성 등을 마친 지난해 5월 재개장했다. 방문객들은 공원 내 경기도자박물관을 들른 이후 테마정원을 산책하고 도자공방거리 내 도예인의 창작 활동을 탐방하고 도자기를 현장에서 구매·체험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여행 관련기사목록
- 숲속에서 반려견과 달콤한 하룻밤, 장흥 국립천관산자연휴양림
- 자유롭게 신나게, 맘껏 ‘뛰어노시개’ 임실 오수의견관광지
- 반려견과 반려인을 위한 특별한 피서지, 의성펫월드
- 댕댕이와 사람이 함께 행복한, 춘천 강아지숲
- 견공의, 견공에 의한, 견공을 위한 놀이 공간, 인천대공원 반려견놀이터
- 광양와인동굴 에서 동캉스, 백운산에서는 숲캉스 즐긴다
- 반려견도 보호자도 행복한, 오산반려동물테마파크
- 고성군 대가면 동동숲, 수국으로 물들다
- 고창 운곡습지 ‘여행가는 달’ 여행상품 인기다
- 신안군, 팔금면 도로변 황금빛으로 물들다
- 완도군 보길도 세연정에 노란 물결, 2만 송이 해바라기 활짝
- 옥천 구읍, 연꽃의 향기에 물들다
- 전주시, 전라감영 역사문화 체험·공연 콘텐츠 프로그램 운영
- 익산 마한박물관 노인 대상 프로그램, 손 끝으로 만나는 마한 운영
- 2022 아시안컵 보령국제요트대회 열린다
- 남원시 요천 수경 물놀이시설 조성
- 충남도 금강자연휴양림, 탄소중립 숲해설 운영
- 경기도, 도내 관광지 홍보위한 경기네컷 이벤트 진행
- 경주시 비단벌레 전동차 3호차 도입, 동부사적지 3.3㎞ 왕복 운행
- 조선팝 페스티벌, 8월·10월 전주 에서 두차례 개최한다
|
- 국내여행
- 댕댕이와 사람이 함께 행복한, 춘천 강아지숲
- 국내여행
- 해남에서 강화까지 국내 최장 거리, 1,800km 서해랑길 개통
- 국내여행
- 푸른 바다를 껴안은 후덕한 삼척 덕봉산해안생태탐방로
1/3
|